린필드 코어 I5 750의 테스트 리뷰
인텔에서 I7을 발표하고 나서 좋다는 것은 알지만 가격 때문에 선택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많은 유저들이 기다리는 것이 바로 I7의 동생 급이 될 I5 린필드 코어입니다.
이번에 테스트에 쓰인 제품은 750 입니다.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브랜드 분류
|
인텔(코어i5)
|
소켓 구분
|
인텔(소켓1156)
|
연산 체계
|
64(32) 비트
|
코어 형태
|
쿼드 코어
|
동작 속도
|
2.66 GHz
|
시스템 버스
|
|
L2 캐시 메모리
|
|
L3 캐시 메모리
|
8MB
|
제조 공정
|
45nm
|
설계전력
|
95 W
|
패키지 형태
|
정품 박스
|
가상화 지원
|
윈도우 7 가상화
|
I7과의 차이점은 소켓 규격이 다르며 (I7은 소켓 1366 사용) 메모리 컨트롤러가
트리플이 아닌듀얼 채널 지원 입니다.
최대 관심사였던 하이퍼 스레이딩 (HT: 소프트웨어적으로 가상 코어를 사용) 지원은
I5에서도 지원합니다만 750 제품은 HT지원이 되지 않습니다
앞으로도 7XX대 I5는 HT가 빠지고 8XX대 I5는 지원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HT 지원이 되면 쿼드 코어로 나오는 I5 Cpu가 윈도우 상에서는
8개의 코어로 인식됩니다
현재 멀티 쓰레드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늘고 있는 상태에서
이제는 클럭이 높은 제품보다
불과 1~2년여 전만 해도 게임 쪽에서는 클럭이 높은 제품이
더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으나
최근 출시되는 게임들은 멀티스레드에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실제로 I7 테스트 시에
아이온 구동 시 8개 쓰레드를 모두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번 비교에는 총 5가지의 CPU가 사용 되었습니다.
AMD 제품 군으로 페넘2 710, 810과 요크필드 Q8400, Q9400, I5 750입니다
CPU
|
AMDX710
|
AMD X810
|
INTEL Q8400
|
INTEL Q9400
|
INTEL 린필드 i5 750
|
M/B
|
M3A78 (AMD 770)
|
INTEL DG45ID (G45 칩셋)
|
INTEL P55WG (P55칩셋)
|
VGA
|
엡솔루트 GTX 250 DDR3 512M
|
RAM
|
삼성 DDR2 6400 2GB *2
|
삼성 DDR3 10600 1GB *2
|
HDD
|
WD 320GB SATA2 16M
|
먼저 3D MARK 06 TEST입니다.
3D MARK 06
|
SM 2.0
|
HDR /SM 3.0
|
CPU
|
총점
|
AMD 페넘2 X710
|
4593
|
5538
|
3219
|
11659
|
AMD 페넘2 X810
|
4819
|
5997
|
3960
|
12797
|
INTEL 요크필드 Q8400
|
4817
|
5840
|
4276
|
12847
|
INTEL 요크필드 Q9400
|
5899
|
5926
|
4328
|
13031
|
INTEL 린필드 i5 750
|
6804
|
6714
|
4795
|
15920
|
모든 점수는 높을수록 좋은 것입니다.
위에 결과 값에서 보듯이 같은 그래픽을 사용했으나 750만 두드러지게
점수가 높습니다
CPU점수를 빼고 보더라도 많은 향상을 가져왔습니다.
그 이유는 I5와 I7은 메인보드 칩셋에서 관리하던 PCI-E 와 메모리 컨트롤러를
내장 했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다이렉트로 처리하니 빨라 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3DMARK 벤티지를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64bit 운영체계 용이기 때문입니다 PC방에서 사용하는 운영체계는 XP 32bit가 대부분임으로 06 버전을 사용하였습니다)
PC의 전체적 성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PC MARK 05 입니다
PC MARK 05
|
총점
|
CPU
|
RAM
|
VGA
|
HDD
|
AMD X710
|
7824
|
7174
|
4805
|
12016
|
7067
|
AMD X810
|
8036
|
7916
|
4627
|
11689
|
7045
|
INTEL Q8400
|
8350
|
8555
|
4093
|
11409
|
6947
|
INTEL Q9400
|
8409
|
8566
|
4093
|
114090
|
6947
|
INTEL i5 750
|
10061
|
9629
|
9306
|
17404
|
6638
|
이번 테스트 역시 메모리와 그래픽에서 월등한 성능차이를 보이면 크게 앞 질렀습니다.
물론 다른 시스템은 DDR2 메모리며 린필드는 DDR3지만 다른 리뷰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데네브 테스트 시에 DDR3 메인보드와 DDR2 메인보드에서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면 이번에 I5에 내장된 컨트롤러의 성능을 짐작하게 합니다
제공: ㈜ 현주 씨앤아이 http://cafe.naver.com/inyx
린필드 코어 I5 750의 테스트 리뷰
인텔에서 I7을 발표하고 나서 좋다는 것은 알지만 가격 때문에 선택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많은 유저들이 기다리는 것이 바로 I7의 동생 급이 될 I5 린필드 코어입니다.
이번에 테스트에 쓰인 제품은 750 입니다.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브랜드 분류
|
인텔(코어i5)
|
소켓 구분
|
인텔(소켓1156)
|
연산 체계
|
64(32) 비트
|
코어 형태
|
쿼드 코어
|
동작 속도
|
2.66 GHz
|
시스템 버스
|
|
L2 캐시 메모리
|
|
L3 캐시 메모리
|
8MB
|
제조 공정
|
45nm
|
설계전력
|
95 W
|
패키지 형태
|
정품 박스
|
가상화 지원
|
윈도우 7 가상화
|
I7과의 차이점은 소켓 규격이 다르며 (I7은 소켓 1366 사용) 메모리 컨트롤러가
트리플이 아닌듀얼 채널 지원 입니다.
최대 관심사였던 하이퍼 스레이딩 (HT: 소프트웨어적으로 가상 코어를 사용) 지원은
I5에서도 지원합니다만 750 제품은 HT지원이 되지 않습니다
앞으로도 7XX대 I5는 HT가 빠지고 8XX대 I5는 지원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HT 지원이 되면 쿼드 코어로 나오는 I5 Cpu가 윈도우 상에서는
8개의 코어로 인식됩니다
현재 멀티 쓰레드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늘고 있는 상태에서
이제는 클럭이 높은 제품보다
불과 1~2년여 전만 해도 게임 쪽에서는 클럭이 높은 제품이
더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으나
최근 출시되는 게임들은 멀티스레드에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실제로 I7 테스트 시에
아이온 구동 시 8개 쓰레드를 모두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번 비교에는 총 5가지의 CPU가 사용 되었습니다.
AMD 제품 군으로 페넘2 710, 810과 요크필드 Q8400, Q9400, I5 750입니다
CPU
|
AMDX710
|
AMD X810
|
INTEL Q8400
|
INTEL Q9400
|
INTEL 린필드 i5 750
|
M/B
|
M3A78 (AMD 770)
|
INTEL DG45ID (G45 칩셋)
|
INTEL P55WG (P55칩셋)
|
VGA
|
엡솔루트 GTX 250 DDR3 512M
|
RAM
|
삼성 DDR2 6400 2GB *2
|
삼성 DDR3 10600 1GB *2
|
HDD
|
WD 320GB SATA2 16M
|
먼저 3D MARK 06 TEST입니다.
3D MARK 06
|
SM 2.0
|
HDR /SM 3.0
|
CPU
|
총점
|
AMD 페넘2 X710
|
4593
|
5538
|
3219
|
11659
|
AMD 페넘2 X810
|
4819
|
5997
|
3960
|
12797
|
INTEL 요크필드 Q8400
|
4817
|
5840
|
4276
|
12847
|
INTEL 요크필드 Q9400
|
5899
|
5926
|
4328
|
13031
|
INTEL 린필드 i5 750
|
6804
|
6714
|
4795
|
15920
|
모든 점수는 높을수록 좋은 것입니다.
위에 결과 값에서 보듯이 같은 그래픽을 사용했으나 750만 두드러지게
점수가 높습니다
CPU점수를 빼고 보더라도 많은 향상을 가져왔습니다.
그 이유는 I5와 I7은 메인보드 칩셋에서 관리하던 PCI-E 와 메모리 컨트롤러를
내장 했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다이렉트로 처리하니 빨라 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3DMARK 벤티지를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64bit 운영체계 용이기 때문입니다 PC방에서 사용하는 운영체계는 XP 32bit가 대부분임으로 06 버전을 사용하였습니다)
PC의 전체적 성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PC MARK 05 입니다
PC MARK 05
|
총점
|
CPU
|
RAM
|
VGA
|
HDD
|
AMD X710
|
7824
|
7174
|
4805
|
12016
|
7067
|
AMD X810
|
8036
|
7916
|
4627
|
11689
|
7045
|
INTEL Q8400
|
8350
|
8555
|
4093
|
11409
|
6947
|
INTEL Q9400
|
8409
|
8566
|
4093
|
114090
|
6947
|
INTEL i5 750
|
10061
|
9629
|
9306
|
17404
|
6638
|
이번 테스트 역시 메모리와 그래픽에서 월등한 성능차이를 보이면 크게 앞 질렀습니다.
물론 다른 시스템은 DDR2 메모리며 린필드는 DDR3지만 다른 리뷰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데네브 테스트 시에 DDR3 메인보드와 DDR2 메인보드에서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면 이번에 I5에 내장된 컨트롤러의 성능을 짐작하게 합니다
제공: ㈜ 현주 씨앤아이 http://cafe.naver.com/inyx
|
ATOP 천년 시리즈 파워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자!!
|
신기한 제품이 나타났다.
사실 아주 작은 아이디어지만, 콜럼버스의 달걀 같이 신선하게 느껴진다.
기존 파워서플라이가 단순히 PC의 각 부품에 맞추어 전압을 조절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의 역할에서 벗어나
몇몇 케이스 제품에서만 보였던 작은 활용성이 덧붙여 진 것이다.
제품의 구조는 아래와 같이 간단하다.
▼ 메인보드와 파워의 SATA케이블 연결
▼ 파워 외부에 위치한 4PIN 전원 커넥터와 SATA 연결단자.
|
1. PC방에서의 하드 복사.
|
가장 많이 이 파워서플라이가 쓰일 용도를 뽑자면 PC방에서의 기본 설치 작업이다.
똑같은 사양의 다수의 PC가 존재할 경우 윈도우 설치에는 보통 마스터 하드 작업을
진행한 후 HDD복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 아래처럼 PC방 설치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
2. 핫 플러그 & 스왑 지원으로 USB 처럼 HDD를 써보자!!
|
핫 플러그 & 스왑 이란 외장 E-SATA 사용시 기존의 USB처럼
PC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SATA HDD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또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이 기능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아래 세가지 요건이 모두 갖춰줘야 한다.
1. 메인보드가 AHCI 기능을 지원해야한다.
(BIOS상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2. HDD가 AHCI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3. XP의 경우 윈도우를 설치하면서 드라이버를 플로피로 깔아주어야 하지만,
설치후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통해서도 지원이 가능하다.
이 조건만 갖춘다면, 별도의 외장케이스 없이도 빠른 전송속도의 외장 저장장치가
구현 가능한 것이다.
▼ 무거운 대용량 외장저장장치...
|
3. SATA 외장 ODD!!
|
요즘의 ODD란 윈도우 설치 이후 거의 쓸모가 없어지고 있다.
가끔 PC를 모르는 타인을 위해 영상을 선물하거나, OS 백업 시디를 굽는 이외에는
먼지만 쌓여가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아주 가끔 또 없으면 아쉬운 부품이 ODD이다. 필요할때 꼽아서 쓸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 핫 스왑으로 PC사용중 제거 할 수는 없지만 이제 ODD는 하나만 있으면 충분하다.
|
4. 그 외의 엽기적인 활용성.
|
아래는 상품의견 게시판에 올려준 사용자들의 다양한 의견의 요약 내용이다.
1. 4PIN 커넥터에 12V 팬을 달아 선풍기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2. PC를 켜지 않고도 12V만 쓸수 있게 스위치를 만들면 좋을 것 같다.
▼ 벌써 많은 의견들이 다나와 상품의견 게시판에 올라오고 있다.
|
|
ATOP 천년 시리즈 파워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자!!
|
신기한 제품이 나타났다.
사실 아주 작은 아이디어지만, 콜럼버스의 달걀 같이 신선하게 느껴진다.
기존 파워서플라이가 단순히 PC의 각 부품에 맞추어 전압을 조절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의 역할에서 벗어나
몇몇 케이스 제품에서만 보였던 작은 활용성이 덧붙여 진 것이다.
제품의 구조는 아래와 같이 간단하다.
▼ 메인보드와 파워의 SATA케이블 연결
▼ 파워 외부에 위치한 4PIN 전원 커넥터와 SATA 연결단자.
|
1. PC방에서의 하드 복사.
|
가장 많이 이 파워서플라이가 쓰일 용도를 뽑자면 PC방에서의 기본 설치 작업이다.
똑같은 사양의 다수의 PC가 존재할 경우 윈도우 설치에는 보통 마스터 하드 작업을
진행한 후 HDD복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 아래처럼 PC방 설치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
2. 핫 플러그 & 스왑 지원으로 USB 처럼 HDD를 써보자!!
|
핫 플러그 & 스왑 이란 외장 E-SATA 사용시 기존의 USB처럼
PC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SATA HDD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또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이 기능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아래 세가지 요건이 모두 갖춰줘야 한다.
1. 메인보드가 AHCI 기능을 지원해야한다.
(BIOS상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2. HDD가 AHCI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3. XP의 경우 윈도우를 설치하면서 드라이버를 플로피로 깔아주어야 하지만,
설치후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통해서도 지원이 가능하다.
이 조건만 갖춘다면, 별도의 외장케이스 없이도 빠른 전송속도의 외장 저장장치가
구현 가능한 것이다.
▼ 무거운 대용량 외장저장장치...
|
3. SATA 외장 ODD!!
|
요즘의 ODD란 윈도우 설치 이후 거의 쓸모가 없어지고 있다.
가끔 PC를 모르는 타인을 위해 영상을 선물하거나, OS 백업 시디를 굽는 이외에는
먼지만 쌓여가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아주 가끔 또 없으면 아쉬운 부품이 ODD이다. 필요할때 꼽아서 쓸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 핫 스왑으로 PC사용중 제거 할 수는 없지만 이제 ODD는 하나만 있으면 충분하다.
|
4. 그 외의 엽기적인 활용성.
|
아래는 상품의견 게시판에 올려준 사용자들의 다양한 의견의 요약 내용이다.
1. 4PIN 커넥터에 12V 팬을 달아 선풍기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2. PC를 켜지 않고도 12V만 쓸수 있게 스위치를 만들면 좋을 것 같다.
▼ 벌써 많은 의견들이 다나와 상품의견 게시판에 올라오고 있다.
|
|
ATOP 천년 시리즈 파워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자!!
|
신기한 제품이 나타났다.
사실 아주 작은 아이디어지만, 콜럼버스의 달걀 같이 신선하게 느껴진다.
기존 파워서플라이가 단순히 PC의 각 부품에 맞추어 전압을 조절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의 역할에서 벗어나
몇몇 케이스 제품에서만 보였던 작은 활용성이 덧붙여 진 것이다.
제품의 구조는 아래와 같이 간단하다.
▼ 메인보드와 파워의 SATA케이블 연결
▼ 파워 외부에 위치한 4PIN 전원 커넥터와 SATA 연결단자.
|
1. PC방에서의 하드 복사.
|
가장 많이 이 파워서플라이가 쓰일 용도를 뽑자면 PC방에서의 기본 설치 작업이다.
똑같은 사양의 다수의 PC가 존재할 경우 윈도우 설치에는 보통 마스터 하드 작업을
진행한 후 HDD복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 아래처럼 PC방 설치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
2. 핫 플러그 & 스왑 지원으로 USB 처럼 HDD를 써보자!!
|
핫 플러그 & 스왑 이란 외장 E-SATA 사용시 기존의 USB처럼
PC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SATA HDD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또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이 기능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아래 세가지 요건이 모두 갖춰줘야 한다.
1. 메인보드가 AHCI 기능을 지원해야한다.
(BIOS상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2. HDD가 AHCI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3. XP의 경우 윈도우를 설치하면서 드라이버를 플로피로 깔아주어야 하지만,
설치후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통해서도 지원이 가능하다.
이 조건만 갖춘다면, 별도의 외장케이스 없이도 빠른 전송속도의 외장 저장장치가
구현 가능한 것이다.
▼ 무거운 대용량 외장저장장치...
|
3. SATA 외장 ODD!!
|
요즘의 ODD란 윈도우 설치 이후 거의 쓸모가 없어지고 있다.
가끔 PC를 모르는 타인을 위해 영상을 선물하거나, OS 백업 시디를 굽는 이외에는
먼지만 쌓여가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아주 가끔 또 없으면 아쉬운 부품이 ODD이다. 필요할때 꼽아서 쓸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 핫 스왑으로 PC사용중 제거 할 수는 없지만 이제 ODD는 하나만 있으면 충분하다.
|
4. 그 외의 엽기적인 활용성.
|
아래는 상품의견 게시판에 올려준 사용자들의 다양한 의견의 요약 내용이다.
1. 4PIN 커넥터에 12V 팬을 달아 선풍기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2. PC를 켜지 않고도 12V만 쓸수 있게 스위치를 만들면 좋을 것 같다.
▼ 벌써 많은 의견들이 다나와 상품의견 게시판에 올라오고 있다.
|
|
ATOP 천년 시리즈 파워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자!!
|
신기한 제품이 나타났다.
사실 아주 작은 아이디어지만, 콜럼버스의 달걀 같이 신선하게 느껴진다.
기존 파워서플라이가 단순히 PC의 각 부품에 맞추어 전압을 조절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의 역할에서 벗어나
몇몇 케이스 제품에서만 보였던 작은 활용성이 덧붙여 진 것이다.
제품의 구조는 아래와 같이 간단하다.
▼ 메인보드와 파워의 SATA케이블 연결
▼ 파워 외부에 위치한 4PIN 전원 커넥터와 SATA 연결단자.
|
1. PC방에서의 하드 복사.
|
가장 많이 이 파워서플라이가 쓰일 용도를 뽑자면 PC방에서의 기본 설치 작업이다.
똑같은 사양의 다수의 PC가 존재할 경우 윈도우 설치에는 보통 마스터 하드 작업을
진행한 후 HDD복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 아래처럼 PC방 설치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
2. 핫 플러그 & 스왑 지원으로 USB 처럼 HDD를 써보자!!
|
핫 플러그 & 스왑 이란 외장 E-SATA 사용시 기존의 USB처럼
PC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SATA HDD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또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이 기능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아래 세가지 요건이 모두 갖춰줘야 한다.
1. 메인보드가 AHCI 기능을 지원해야한다.
(BIOS상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2. HDD가 AHCI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3. XP의 경우 윈도우를 설치하면서 드라이버를 플로피로 깔아주어야 하지만,
설치후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통해서도 지원이 가능하다.
이 조건만 갖춘다면, 별도의 외장케이스 없이도 빠른 전송속도의 외장 저장장치가
구현 가능한 것이다.
▼ 무거운 대용량 외장저장장치...
|
3. SATA 외장 ODD!!
|
요즘의 ODD란 윈도우 설치 이후 거의 쓸모가 없어지고 있다.
가끔 PC를 모르는 타인을 위해 영상을 선물하거나, OS 백업 시디를 굽는 이외에는
먼지만 쌓여가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아주 가끔 또 없으면 아쉬운 부품이 ODD이다. 필요할때 꼽아서 쓸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 핫 스왑으로 PC사용중 제거 할 수는 없지만 이제 ODD는 하나만 있으면 충분하다.
|
4. 그 외의 엽기적인 활용성.
|
아래는 상품의견 게시판에 올려준 사용자들의 다양한 의견의 요약 내용이다.
1. 4PIN 커넥터에 12V 팬을 달아 선풍기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2. PC를 켜지 않고도 12V만 쓸수 있게 스위치를 만들면 좋을 것 같다.
▼ 벌써 많은 의견들이 다나와 상품의견 게시판에 올라오고 있다.
|
|
ATOP 천년 시리즈 파워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자!!
|
신기한 제품이 나타났다.
사실 아주 작은 아이디어지만, 콜럼버스의 달걀 같이 신선하게 느껴진다.
기존 파워서플라이가 단순히 PC의 각 부품에 맞추어 전압을 조절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의 역할에서 벗어나
몇몇 케이스 제품에서만 보였던 작은 활용성이 덧붙여 진 것이다.
제품의 구조는 아래와 같이 간단하다.
▼ 메인보드와 파워의 SATA케이블 연결
▼ 파워 외부에 위치한 4PIN 전원 커넥터와 SATA 연결단자.
|
1. PC방에서의 하드 복사.
|
가장 많이 이 파워서플라이가 쓰일 용도를 뽑자면 PC방에서의 기본 설치 작업이다.
똑같은 사양의 다수의 PC가 존재할 경우 윈도우 설치에는 보통 마스터 하드 작업을
진행한 후 HDD복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 아래처럼 PC방 설치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
2. 핫 플러그 & 스왑 지원으로 USB 처럼 HDD를 써보자!!
|
핫 플러그 & 스왑 이란 외장 E-SATA 사용시 기존의 USB처럼
PC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SATA HDD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또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이 기능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아래 세가지 요건이 모두 갖춰줘야 한다.
1. 메인보드가 AHCI 기능을 지원해야한다.
(BIOS상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2. HDD가 AHCI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3. XP의 경우 윈도우를 설치하면서 드라이버를 플로피로 깔아주어야 하지만,
설치후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통해서도 지원이 가능하다.
이 조건만 갖춘다면, 별도의 외장케이스 없이도 빠른 전송속도의 외장 저장장치가
구현 가능한 것이다.
▼ 무거운 대용량 외장저장장치...
|
3. SATA 외장 ODD!!
|
요즘의 ODD란 윈도우 설치 이후 거의 쓸모가 없어지고 있다.
가끔 PC를 모르는 타인을 위해 영상을 선물하거나, OS 백업 시디를 굽는 이외에는
먼지만 쌓여가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아주 가끔 또 없으면 아쉬운 부품이 ODD이다. 필요할때 꼽아서 쓸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 핫 스왑으로 PC사용중 제거 할 수는 없지만 이제 ODD는 하나만 있으면 충분하다.
|
4. 그 외의 엽기적인 활용성.
|
아래는 상품의견 게시판에 올려준 사용자들의 다양한 의견의 요약 내용이다.
1. 4PIN 커넥터에 12V 팬을 달아 선풍기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2. PC를 켜지 않고도 12V만 쓸수 있게 스위치를 만들면 좋을 것 같다.
▼ 벌써 많은 의견들이 다나와 상품의견 게시판에 올라오고 있다.
|
|
ATOP 천년 시리즈 파워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자!!
|
신기한 제품이 나타났다.
사실 아주 작은 아이디어지만, 콜럼버스의 달걀 같이 신선하게 느껴진다.
기존 파워서플라이가 단순히 PC의 각 부품에 맞추어 전압을 조절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의 역할에서 벗어나
몇몇 케이스 제품에서만 보였던 작은 활용성이 덧붙여 진 것이다.
제품의 구조는 아래와 같이 간단하다.
▼ 메인보드와 파워의 SATA케이블 연결
▼ 파워 외부에 위치한 4PIN 전원 커넥터와 SATA 연결단자.
|
1. PC방에서의 하드 복사.
|
가장 많이 이 파워서플라이가 쓰일 용도를 뽑자면 PC방에서의 기본 설치 작업이다.
똑같은 사양의 다수의 PC가 존재할 경우 윈도우 설치에는 보통 마스터 하드 작업을
진행한 후 HDD복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 아래처럼 PC방 설치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
2. 핫 플러그 & 스왑 지원으로 USB 처럼 HDD를 써보자!!
|
핫 플러그 & 스왑 이란 외장 E-SATA 사용시 기존의 USB처럼
PC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SATA HDD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또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이 기능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아래 세가지 요건이 모두 갖춰줘야 한다.
1. 메인보드가 AHCI 기능을 지원해야한다.
(BIOS상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2. HDD가 AHCI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3. XP의 경우 윈도우를 설치하면서 드라이버를 플로피로 깔아주어야 하지만,
설치후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통해서도 지원이 가능하다.
이 조건만 갖춘다면, 별도의 외장케이스 없이도 빠른 전송속도의 외장 저장장치가
구현 가능한 것이다.
▼ 무거운 대용량 외장저장장치...
|
3. SATA 외장 ODD!!
|
요즘의 ODD란 윈도우 설치 이후 거의 쓸모가 없어지고 있다.
가끔 PC를 모르는 타인을 위해 영상을 선물하거나, OS 백업 시디를 굽는 이외에는
먼지만 쌓여가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아주 가끔 또 없으면 아쉬운 부품이 ODD이다. 필요할때 꼽아서 쓸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 핫 스왑으로 PC사용중 제거 할 수는 없지만 이제 ODD는 하나만 있으면 충분하다.
|
4. 그 외의 엽기적인 활용성.
|
아래는 상품의견 게시판에 올려준 사용자들의 다양한 의견의 요약 내용이다.
1. 4PIN 커넥터에 12V 팬을 달아 선풍기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2. PC를 켜지 않고도 12V만 쓸수 있게 스위치를 만들면 좋을 것 같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