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l 클락데일 i3 540 +H55 보드 테스트
이번에 새로이 출시되는 인텔의 신제품인 CPU i540(코드명, 클락데일)과 클락데일에 맞춤형 보드인 H55보드
의 테스트를 완료한 결과표가 나와서 이렇게올려드립니다.
1156소켓의 CPU로 클락데일 i3 CPU가 출시 되었습니다.
이번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듀얼코어에 하이퍼 쓰레딩을 지원(2코어가 4개의 코어로 인식)하며 CPU안에 내장
그래픽 칩셋인 GPU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번에 CPU에 탑재된 GPU를 사용하기 위하여 같이 출시된 H55보드와 함께 테스트를 진행 하였습니다.
일단 기본적인 3D MARK 06과 PC MARK05를 이용하여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먼저 성능 비교는 린필드 i5 750과 비교를 하여 실시 하였으며 H55보드에 CPU만 상호 교체하여 정확한 비교
테스트가 되게 하였습니다.
테스트 사양
브랜드 분류 |
인텔 코어i3 |
소켓 구분 |
인텔 1156 |
연산체계 |
64(32)bit |
코어 형태 |
듀얼 코어 |
동작속도 |
3.06GHz |
시스템버스 |
|
인텔QPI |
|
인텔DMI |
2.5GT/S |
L2캐시 메모리 |
256KB x 2 |
L3 캐시 메모리 |
4MB |
제조공정 |
32nm |
설계전력 |
73W |
패키지 형태 |
정품 박스 |
가상화 지원 |
윈도우7 가상화 |
브랜드 분류 |
인텔 코어i3 |
소켓 구분 |
인텔 1156 |
연산체계 |
64(32)bit |
코어 형태 |
듀얼 코어 |
동작속도 |
3.06GHz |
시스템버스 |
|
인텔QPI |
|
인텔DMI |
2.5GT/S |
L2캐시 메모리 |
256KB x 2 |
L3 캐시 메모리 |
4MB |
제조공정 |
32nm |
설계전력 |
73W |
패키지 형태 |
정품 박스 |
가상화 지원 |
윈도우7 가상화 |
3D MARK06 테스트 결과
PC MARK05 테스트 결과
위의 것을 i5 750과 비교하여 수치 비교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2코어 쓰레드와 4코어의 대결임에도 그래픽 성능에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CPU 점수 차이는 i3가 3.06GHz임에도 리얼 쿼드코어인 i5 750을 넘기지는 못하였습니다.
이번 테스트 결과 i3 540의 성능은 AMD CPU와 비교하면 프로푸스 620과 비슷한 성능이 나오는 것으로 판단
됩니다.
이번 사진은 PCMARK05 비교표 입니다.
2 코어 4쓰레드와 4코어의 대결임에도 그래픽 성능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습니다.
CPU점수 차이는 i3가 3,06GHz 임에도 불구하고 리얼 쿼드 코어인 i5 750을 앞서지는 못하였습니다. 순수 CPU성능만을 가지고 AMD로 따지자면 쿼드코어인 프로푸스급 620보다 좋거나 비슷 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i5 750 CPU 와 PC MARK05 비교 입니다.
전반적으로 비슷한 성능을 보이나 메모리 컨트롤러에서 i5 750의 우세가 나타납니다.
지난번 테스트에서도 언급한 것 처럼 i5는 PCI-E와 메모리를 CPU에서 직접 컨트롤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P55보드의경우 노스브릿지가 사라집니다.)
i3도 같은 방식 이지만 그래픽 코어가 내장되었는데 이때문에 약간의 성능 차이가 나타나지 않나 하는 것을
조심스럽게 예상을 합니다.
게임 테스트의 경우도 i5와 큰 차이를 느낄 수는 없었지만 게임 로딩에서의 차이가 존재 합니다.
이것은 아직은 각종 드라이버에서의 안정화 문제로 여겨지며 지금 현재로는 i5보다 로딩속도는 느렸습니다.
다음은 내장 그래픽 성능 입니다.
위의 테스트 결과를 보면 클락데일이 PC방 보다는 일반 개인이나 사무용을 위하여 개발 되었음을 알수 있으며
내장 그래픽의 성능은 그래도 지포스 6000대의 성능이 나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번 테스트를 정리하면 i3 클락데일의 경우 듀얼 코어임에도 불구하고 하이퍼쓰레딩의 성능을 갖추어 4코어를
인식하여 작동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기대이상의 성능을 보여준 CPU임을 느꼈습니다.
아직은 가격대가 본격적으로 출하전이라 당장은 말을 할 수 없으나 최소한 보급형 CPU제품군에서는 판도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클락데일 i3 540 및 H55 보드 테스트 결과
2010.01.20 12:36:59 / 조회수 1878 / 작성자 아이닉스피사모
intel 클락데일 i3 540 +H55 보드 테스트
이번에 새로이 출시되는 인텔의 신제품인 CPU i540(코드명, 클락데일)과 클락데일에 맞춤형 보드인 H55보드
의 테스트를 완료한 결과표가 나와서 이렇게올려드립니다.
1156소켓의 CPU로 클락데일 i3 CPU가 출시 되었습니다.
이번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듀얼코어에 하이퍼 쓰레딩을 지원(2코어가 4개의 코어로 인식)하며 CPU안에 내장
그래픽 칩셋인 GPU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번에 CPU에 탑재된 GPU를 사용하기 위하여 같이 출시된 H55보드와 함께 테스트를 진행 하였습니다.
일단 기본적인 3D MARK 06과 PC MARK05를 이용하여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먼저 성능 비교는 린필드 i5 750과 비교를 하여 실시 하였으며 H55보드에 CPU만 상호 교체하여 정확한 비교
테스트가 되게 하였습니다.
테스트 사양
브랜드 분류 |
인텔 코어i3 |
소켓 구분 |
인텔 1156 |
연산체계 |
64(32)bit |
코어 형태 |
듀얼 코어 |
동작속도 |
3.06GHz |
시스템버스 |
|
인텔QPI |
|
인텔DMI |
2.5GT/S |
L2캐시 메모리 |
256KB x 2 |
L3 캐시 메모리 |
4MB |
제조공정 |
32nm |
설계전력 |
73W |
패키지 형태 |
정품 박스 |
가상화 지원 |
윈도우7 가상화 |
브랜드 분류 |
인텔 코어i3 |
소켓 구분 |
인텔 1156 |
연산체계 |
64(32)bit |
코어 형태 |
듀얼 코어 |
동작속도 |
3.06GHz |
시스템버스 |
|
인텔QPI |
|
인텔DMI |
2.5GT/S |
L2캐시 메모리 |
256KB x 2 |
L3 캐시 메모리 |
4MB |
제조공정 |
32nm |
설계전력 |
73W |
패키지 형태 |
정품 박스 |
가상화 지원 |
윈도우7 가상화 |
3D MARK06 테스트 결과
PC MARK05 테스트 결과
위의 것을 i5 750과 비교하여 수치 비교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2코어 쓰레드와 4코어의 대결임에도 그래픽 성능에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CPU 점수 차이는 i3가 3.06GHz임에도 리얼 쿼드코어인 i5 750을 넘기지는 못하였습니다.
이번 테스트 결과 i3 540의 성능은 AMD CPU와 비교하면 프로푸스 620과 비슷한 성능이 나오는 것으로 판단
됩니다.
이번 사진은 PCMARK05 비교표 입니다.
2 코어 4쓰레드와 4코어의 대결임에도 그래픽 성능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습니다.
CPU점수 차이는 i3가 3,06GHz 임에도 불구하고 리얼 쿼드 코어인 i5 750을 앞서지는 못하였습니다. 순수 CPU성능만을 가지고 AMD로 따지자면 쿼드코어인 프로푸스급 620보다 좋거나 비슷 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i5 750 CPU 와 PC MARK05 비교 입니다.
전반적으로 비슷한 성능을 보이나 메모리 컨트롤러에서 i5 750의 우세가 나타납니다.
지난번 테스트에서도 언급한 것 처럼 i5는 PCI-E와 메모리를 CPU에서 직접 컨트롤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P55보드의경우 노스브릿지가 사라집니다.)
i3도 같은 방식 이지만 그래픽 코어가 내장되었는데 이때문에 약간의 성능 차이가 나타나지 않나 하는 것을
조심스럽게 예상을 합니다.
게임 테스트의 경우도 i5와 큰 차이를 느낄 수는 없었지만 게임 로딩에서의 차이가 존재 합니다.
이것은 아직은 각종 드라이버에서의 안정화 문제로 여겨지며 지금 현재로는 i5보다 로딩속도는 느렸습니다.
다음은 내장 그래픽 성능 입니다.
위의 테스트 결과를 보면 클락데일이 PC방 보다는 일반 개인이나 사무용을 위하여 개발 되었음을 알수 있으며
내장 그래픽의 성능은 그래도 지포스 6000대의 성능이 나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번 테스트를 정리하면 i3 클락데일의 경우 듀얼 코어임에도 불구하고 하이퍼쓰레딩의 성능을 갖추어 4코어를
인식하여 작동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기대이상의 성능을 보여준 CPU임을 느꼈습니다.
아직은 가격대가 본격적으로 출하전이라 당장은 말을 할 수 없으나 최소한 보급형 CPU제품군에서는 판도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클락데일 i3 540 및 H55 보드 테스트 결과
2010.01.20 12:36:59 / 조회수 1878 / 작성자 아이닉스피사모
intel 클락데일 i3 540 +H55 보드 테스트
이번에 새로이 출시되는 인텔의 신제품인 CPU i540(코드명, 클락데일)과 클락데일에 맞춤형 보드인 H55보드
의 테스트를 완료한 결과표가 나와서 이렇게올려드립니다.
1156소켓의 CPU로 클락데일 i3 CPU가 출시 되었습니다.
이번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듀얼코어에 하이퍼 쓰레딩을 지원(2코어가 4개의 코어로 인식)하며 CPU안에 내장
그래픽 칩셋인 GPU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번에 CPU에 탑재된 GPU를 사용하기 위하여 같이 출시된 H55보드와 함께 테스트를 진행 하였습니다.
일단 기본적인 3D MARK 06과 PC MARK05를 이용하여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먼저 성능 비교는 린필드 i5 750과 비교를 하여 실시 하였으며 H55보드에 CPU만 상호 교체하여 정확한 비교
테스트가 되게 하였습니다.
테스트 사양
브랜드 분류 |
인텔 코어i3 |
소켓 구분 |
인텔 1156 |
연산체계 |
64(32)bit |
코어 형태 |
듀얼 코어 |
동작속도 |
3.06GHz |
시스템버스 |
|
인텔QPI |
|
인텔DMI |
2.5GT/S |
L2캐시 메모리 |
256KB x 2 |
L3 캐시 메모리 |
4MB |
제조공정 |
32nm |
설계전력 |
73W |
패키지 형태 |
정품 박스 |
가상화 지원 |
윈도우7 가상화 |
브랜드 분류 |
인텔 코어i3 |
소켓 구분 |
인텔 1156 |
연산체계 |
64(32)bit |
코어 형태 |
듀얼 코어 |
동작속도 |
3.06GHz |
시스템버스 |
|
인텔QPI |
|
인텔DMI |
2.5GT/S |
L2캐시 메모리 |
256KB x 2 |
L3 캐시 메모리 |
4MB |
제조공정 |
32nm |
설계전력 |
73W |
패키지 형태 |
정품 박스 |
가상화 지원 |
윈도우7 가상화 |
3D MARK06 테스트 결과
PC MARK05 테스트 결과
위의 것을 i5 750과 비교하여 수치 비교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2코어 쓰레드와 4코어의 대결임에도 그래픽 성능에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CPU 점수 차이는 i3가 3.06GHz임에도 리얼 쿼드코어인 i5 750을 넘기지는 못하였습니다.
이번 테스트 결과 i3 540의 성능은 AMD CPU와 비교하면 프로푸스 620과 비슷한 성능이 나오는 것으로 판단
됩니다.
이번 사진은 PCMARK05 비교표 입니다.
2 코어 4쓰레드와 4코어의 대결임에도 그래픽 성능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습니다.
CPU점수 차이는 i3가 3,06GHz 임에도 불구하고 리얼 쿼드 코어인 i5 750을 앞서지는 못하였습니다. 순수 CPU성능만을 가지고 AMD로 따지자면 쿼드코어인 프로푸스급 620보다 좋거나 비슷 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i5 750 CPU 와 PC MARK05 비교 입니다.
전반적으로 비슷한 성능을 보이나 메모리 컨트롤러에서 i5 750의 우세가 나타납니다.
지난번 테스트에서도 언급한 것 처럼 i5는 PCI-E와 메모리를 CPU에서 직접 컨트롤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P55보드의경우 노스브릿지가 사라집니다.)
i3도 같은 방식 이지만 그래픽 코어가 내장되었는데 이때문에 약간의 성능 차이가 나타나지 않나 하는 것을
조심스럽게 예상을 합니다.
게임 테스트의 경우도 i5와 큰 차이를 느낄 수는 없었지만 게임 로딩에서의 차이가 존재 합니다.
이것은 아직은 각종 드라이버에서의 안정화 문제로 여겨지며 지금 현재로는 i5보다 로딩속도는 느렸습니다.
다음은 내장 그래픽 성능 입니다.
위의 테스트 결과를 보면 클락데일이 PC방 보다는 일반 개인이나 사무용을 위하여 개발 되었음을 알수 있으며
내장 그래픽의 성능은 그래도 지포스 6000대의 성능이 나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번 테스트를 정리하면 i3 클락데일의 경우 듀얼 코어임에도 불구하고 하이퍼쓰레딩의 성능을 갖추어 4코어를
인식하여 작동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기대이상의 성능을 보여준 CPU임을 느꼈습니다.
아직은 가격대가 본격적으로 출하전이라 당장은 말을 할 수 없으나 최소한 보급형 CPU제품군에서는 판도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